ISO/IEC 15693 정리
7. VCD to VICC 커뮤니케이션
서로 다른 주파수를 맞추기 위해 여러가지 모드가 존재한다
7.1 modulation(변조)
"pause"라는 휴지점을 이용해 펄스의 위치 변조를 일으킨다. VCD와 VICC의 통신은 ASK 변조를 이용해 발생.
10%, 100% 변조 사용됨. VICC가 이 두가지 방식을 해독한다.


VIDD는 10~30 사이의 변조율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7.2 1 out of 256 data coding mode
예 ) data 'E1' = (1110 0001)b = 225


7.2 1 out of 4 data coding mode
이 방식은 위치가 2비트로 한번에 결정난다. (2비트로 표현이 가능해 4개의 방식이 나온다)
연속적인 바이트의 네개의 비트쌍 (LSB가 먼저 전달됨)
Figure 5는 1/4 pulse technique 와 코딩방식을 보여줌
아래 그림은 1 out of 4 코딩 방식이고, 'E1' = (11100001)b 인 경우

7.3 Framing
동기화의 용이성, 프로토콜의 독립성을 위해 사용되는 기법
subcarrier 유무에 따라 프레임 전달되는 모양이 달라진다

7.3-1 VICC to VCD frames

7.3-2 SOF
<질문 및 피드백>
블럭 : 4Byte(32bits), VICC 내의 메모리 단위라고 보면 된다
slot : 일종의 시도 횟수라고 보면 됨. 슬롯은 0개 혹은 16개로 설정 가능
mask value : 충돌 시점까지의 데이터
padding : mask value를 8의 배수로 맞추기 위한 데이터
error code : 정상일때는 '00', error 발생할 때는 '01'~..
addressed mode : UID가 포함된
Non-addressed mode : UID가 미포함된
* 요청에 대한 응답 프레임에 UID가 포함된 것은 Inventory response 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