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란 컴퓨터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그램의 집합 (자원은 hw와 sw를 통틀어)
메모리 계층 구조
메모리 주요 특징
- 용량, 접근속도, 비용 간은 상호절충(trade off) 되어있음.
병목현상
io의 발전속도가 cpu의 속도를 못따라가서 생기는 현상
병목현상(대부분의 I/O 디바이스는 처리기보다 느림
병목현상이 컴퓨터 장치들 간의 성능의 차이때문에 난다 ?
io입출력 대기일때 cpu가 다른일을 해야 효율적이다
따라서 병렬성(동시성)이 등장 ->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칭형 멀티프로세서, 멀티코어
컴퓨터에서의 대칭형 = 서로 독립,
컴퓨터에서의 비대칭형 = 서로 종속
2장)
터미널이란 디스플레이 모니터
병렬처리 <-> 순차처리
일괄처리(한번에 실행하고 결과를 한번만 보는 것) <-> 대화형처리(결과를 보고 처리하는 것을 반복)
# 커널(kernel, nucleus)
- 주 기억장치에 상주하는 운영체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들을 포함 (핵심적인 기능)
- 마이크로커널(I/O access. scehduler, MMU)
프로세스 : 실행중인 프로그램
프로세스 하나에 여러개의쓰레드가 있다.
쓰레드 : 인터럽트가 가능한 단위 -> 멀티쓰레딩 : 한개의 프로세스를 여러개의 쓰레드를 엮어서 사용하는 기법
쓰레드는 작업의 디스패치단위이다.
디스패치 :작업을 할당하는것 = 스케줄링과 유사
문맥 : 진행된 부분
결합허용 :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가 망가지면 대체 서버로 넘어가는 기술, 대체서버를 다섯개정도 두고 있다.
p.88 프로그래밍 환경 서브시스템 : 다른 운영체제의 프로그램 개발 환경을 지원한다. 특정한 운영환경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응용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
3장) p.116
프로세스 = program in execution
메인프레임 : 대형컴퓨터
IBM - 컴퓨터 회사 이름
인터리빙(77쪽) : 멀티프로그래밍-> 효율적인 기법, cpu하나로 여러 프로세스 처리하는 방법
교착상태 : 꽉 막힌 상태, 중재하는 역할이 필요함
응용 : application, 시스템 프로그램이 아닌 프로그램.
프로세스 제어블록(122쪽) :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
궤적(트레이스) :
디스패처 : 처리기를 한 프로세스로부터 다른 프로세스로 교체하여 주는 프로그램
처리기 : cpu
sp : stack pointer 스택의 주소 리턴값
p.13 기본적인 명령어 사이클 그림과
인터럽트가 있을시의 차이
'전공 과목 이수1👨💻 > 운영체제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7주차 (0) | 2021.04.15 |
---|---|
5주차 (0) | 2021.04.15 |
운영체제 | ubuntu 우분투 실습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