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과목 이수1👨‍💻/임베디드시스템 6

임베디드시스템 터치스크린 이론

** (터치시 style down, 터치 안할시 style up) ** # 터치지점 아는 방법 lcd 아래에는 금속(전선)이 깔려있다. 이 전선들은 저항선분을 가지고 있다. 저항띠(선)에 터치를 할 시 거리에 따른 저항값이 다르다. 터치한 부분의 전압좌표를 알 수 있는데 이를 계산하면 터치좌표를 알 수 있다. - 이때, 전압은 소수점을 가지고 있는 실수값이다. 따라서 ADC(analog digital converner)을 이용해 cpu로 갈때 디지털 값으로 변환해 넘겨준다. # ADC set up (장치준비) - 데이터를 변환하는 시간과 데이터의 형태를 정한다. - 멀티터치가 아닌 모노터치 = 원터치 (좌표값이 하나만 인식이 됨) - 실습키트의 터치스크린은 저항성분으로 이루어져있는 스크린이다. (저항방식..

임베디드시스템 LCD

- LCD화면 가로축 * 세로축 인 2차원평면. - 화면 한 개의 정보들 = frame , 초당 30frame을 출력해야 눈에 보인다 - 해상도 = 가로픽셀수 * 세로픽셀수(줄) - 픽셀수와 해상도는 비례 #픽셀 - LCD data 기본단위 - 색상정보 + 좌표(x,y) - 좌측상단이 원점인 (0,0) 부터 증가하는 형태 (--> dma제어기를 거치멘 좌측하단이 원점이 된다) - 엄청난 data를 높은 주파수로 보내야 초당 3frame출력이 가능하다. # LCD controller (video controller) - AP내 data를 lcd화면으로 내보내기 위해서 주파수를 조절해주는 장치 - LCD에 정확한 주파수로 데이터 전달이 가능 - frame단위로 data전달 - frame단위로 buffer버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