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파일 :
소스프로그램을 실제 실행이 가능한 실행파일로 변환하는 과정
Pre Processor : 소스코드를 풀어서 완전한 소스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Compiler : 변환된 소스를 어셈블리어로 변환
Assembler : 어셈블리 코드를 0,1로 구성된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는 과정
Linker : 변환된 코드를 라이브러리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
Linker과정이 끝나면 실행이 가능한 기계 코드가 생성됨
Loader : 기계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메모리에 올라가게 하는 과정
툴체인 :
소스파일을 실행파일로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필요한 도구들의 연결된 것
타겟에 따라서 다른 툴체인을 설치해줘야 한다. 편하게 압축파일로 변환해 배포한다. 깃에서 다운 가능
하드웨어 데이터시트가 있어야지만 데이터프로그램 작성 가능.
ex) GPIO 데이터시트 분석해보기
- 물리적 메모리 주소 0x00000000 부터 시작
- 주변장치를 위한 물리적 주소는 0x3F000000 ~ 0x3FFFFFFF
-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버스주소가 필요한데, 이 주소는 0x7E000000 부터 시작
- GPIO는 41개의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고 각각은 32bit 이다. 하나의 GPIO 핀에는 3bit씩 할당받음
'ESL 연구실 활동 > 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04 (작성중) (0) | 2022.05.04 |
---|---|
0502 한 일 / 해야할 일/ 미팅 (0) | 2022.05.02 |
0502 CUDA 시도 (0) | 2022.05.02 |
[04] 임베디드 직무강좌 (0) | 2022.04.28 |
[02~03] 임베디드 직무강좌 (0) | 2022.04.28 |
[01] 임베디드 직무강좌 (0) | 202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