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오고 나가는 inout
코드를 보고 포트번호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ip는 하나고 포트는 여러개가 될 수 있다.
- 흔히 쓰이는 port번호
HTTP : 80
HTTOS : 443
SSH : 22
FTP server : 21
# 많은 쓰이는 port들은 전세계적으로 정해진 형식이 있다
Well-known ports
# 열어놓는 포트
많이 쓰이는 포트들은 열어놓는다. 따라서 많이 쓰이는 포트로 위장해서 접근 가능한 경우가 있음.
** 같은 사설망에 있으면 포트포워딩 필요없음 **
점선 : 포트포워딩 설정할 쪽
LGAMD 노트북에서 3000번 포트를 쓰는 소켓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해당 포트가 열린다.
같은 네트워크의 ASUS노트북에서 3000번 포트로 접속할때 내부망이므로 포트포워딩이 필요하지 않고 바로 접속이 가능하다.
하지만 강사PC같은 경우 LGAMD노트북에 접속 불가. 따라서 3000번 포트를 열어주면 접속이 가능해진다,
'FW 심화 과정 > [2] STM32심화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18 16진수용량계산 / ROM,RAM / Keil (0) | 2022.07.18 |
---|---|
0715 웹 서버 기반 하드웨어 제어 (0) | 2022.07.17 |
0715 인터럽트 / I2C를 이용한 가속도센서 (0) | 2022.07.17 |
0714 라즈베리파이 bread board 제어, 스레드 구현 (0) | 2022.07.14 |
[RasPi] 사용 tool 정리 (0) | 2022.07.14 |
0713 RasPi 블루투스 제어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