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어
SoD EoD |
Start of Data End of Data (EOF 같은 느낌인가 봄) |
FDT | Frame Delay Time |
IDm | Manufacture ID |
MRT | Maximum Response Time |
NDEF | NFC Data Exchange Format |
RWT | Response Waiting Time |
Access Attrivute | LSB 6bit Service Code 이 값이 Block Data에 어떻게 들어갈지 결정 |
Access Mode | Block Data에 접근할 때의 방법을 결정하는 Block List Element를 구체화 해주는 값 |
Block | 메모리에 쓰고 읽을 때, 제일 작은 단위 |
Block Number | Block 에서의 논리적 위치. NFC 디바이스가 메모리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이 값을 사용 |
Listen Mode | NFC 디바이스가 다른 기기의 RF 영역을 감지할 수 있음 |
Ln | Length of the NDEF data in bytes (NFC Data Exchange Format) |
Poll Mode | NFC 기기의 초기모드 |
RWflag | Type3 tag가 "read only" 인지 "read/write"접근인지 보여준다 |
Service | 블록데이터와 블록데이터의 집합에 접근하는 개념 Type3 Tag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를 포함시킬 수 있음 |
Service Code | 각각의 Service들을 구분시켜주는 값 |
Technology Subset |
# Blocks
블록들은 16bytes로 크기가 고정되어 있다. 블록의 갯수는 하드웨어의 칩에 따라 다르다.
Service와 관련되어 있다.
# Services
file system 의 file과 비슷한 개념. 각 서비스들은 메모리 블록을 가지고 있음. 서비스들은 그들의 Type3 태그 내부의 서비스 코드를 사용하며 다룬다.
# System Information
각각의 Type3 태그들은 System Information이라고 불리는 제조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
# Command Set
POLLING Command
CHECK Command
UPDATE Command
이 명령어들은 활성화된 Type 3 Tag에 사용됨
# State Diagram

# Polling Command
Polling Command는 Type3 태그가 필드 내에 있는지 감지하기 위해 사용됨
# Check Command
Type3 태그의 메모리에 있는 user data를 읽기 위해 사용됨
06h

- Table 6의 매개변수 내용들을 따라야 함
- NFC 디바이스는 1~15의 Service들을 지원해야 한다.
- 블록 리스트의 service code list 순서 값은 서비스의 수보다 작아야 한다. service code list의 최대값은 n-1 (* n은 서비스의 수)
- 각 서비스 코드 값은 서비스 코드 리스트 내부에서 유일한 값(unique)이다
# Response
- NFC Forum Device는 응답을 해석해야 한다
- Check 응답 파라메터를 해석해야 한다 (Table 7에 정의)

'F💻W > Stand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ype 2,3 비교 (0) | 2023.02.10 |
---|---|
Type 2 Tag (T2T) (0) | 2023.02.06 |
ISO/IEC 15693 정리 (0) | 2022.12.21 |
11143 세미나 피드백 (0) | 2022.11.16 |
1104 세미나 피드백, 1011 세미나 관련 (0) | 2022.11.04 |
RFID HANDBOOK 분석 (0) | 2022.10.13 |